보도자료

  • 소식·참여
  • 보도자료

보도자료

금·은빛 바람을 담은 고려 사경, <묘법연화경 권제6> 돌아오다

작성일 : 2023-06-15 조회수 : 2608

·은빛 바람을 담은 고려 사경, <묘법연화경 권제6> 돌아오다

- <묘법연화경주요 내용 그린 변상도와 글씨 옮겨 적은 경문’ 등 구성... 언론 공개(6.15.)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6월 15일 오전 10시 30분 국립고궁박물관(서울 종로구)에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김정희이하 재단)을 통해 일본에서 환수한 고려 사경(寫經)묘법연화경 권제6(妙法蓮華經 卷第6)을 언론에 공개한다

 ※ 묘법연화경 권제6(妙法蓮華經 卷第6) - 14세기 제작 추정 감지에 금·은니 필사

 크기: (접었을 때세로 27.6㎝ × 가로 9.5㎝ / (펼쳤을 때가로 1,070㎝ / (두께) 1.65

 

 묘법연화경 권제6은 감색(紺色종이에 경전의 내용을 금·은니(·銀泥) 필사하여 절첩본(折帖本)으로 만든 고려 사경(寫經)으로지난해 6월 소장자가 재단에 매도 의사를 밝히면서 처음 존재가 확인되었다이후 문화재청의 행정지원과 수차례에 친 재단의 면밀한 조사와 협상을 거쳐 올해 3월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했다

 ·은니(·銀泥): 금 또는 은가루를 아교풀에 개어 만든 안료

 절첩본(折帖本): 병풍처럼 접는 식으로 만들어진 책의 형태


 사경(寫經)은 불교 경전을 옮겨 적은 경전을 의미하는데본래 불교 교리를 전파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나 점차 발원(發願)을 통해 공덕(功德)을 쌓는 방편으로 여겨져 널리 제작되었다우리나라에서는 특히 고려시대에 사경 작이 성행하였으며국가 기관인 사경원(寫經院)을 통해 국가의 안녕을 빌거나 개인적 차원에서 돌아가신 부모의 극락왕생 등을 바라는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발원(發願): 부처에게 소원이나 바라는 것들을 빎

 공덕(功德): 착한 일을 하여 쌓은 업적과 어진 덕

 사경원(寫經院): 불교의 경전을 옮겨 적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묘법연화경은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있음을 기본사상으로  경전이다총 7권 중 제6권에 해당하는 묘법연화경 권제6은 묘법연화경 전파의 중요성과 공양 실천에 대한 강조를 주 내용으로 한다특히내용 중 23품에 해당하는 약왕보살본사품(藥王菩薩本事品)’에는 묘법연화경이 여러 경전 가운데 제일이며, ‘이 경전을 듣고 스스로 쓰거나 다른 사람을 시켜 쓰면, 그 얻는 공덕은 부처님의 지혜로 그 많고 적음을 헤아려도 그 끝을 알 수 없다’ 고 적혀 있다.


 이번에 공개하는묘법연화경 권제6은 불교문화유산으로서의 종교적 가치와 뛰어난 미적 가치를 함께 자랑하며, 700년에 가까운 시간이 흘렀음에도 보존 상태가 양호해 향후 다양한 연구와 전시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문화재청과 재단은 이번 환수 문화유산의 공개가 고려 사경의 아름다움과 그 속에 담긴 고려인의 바람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라며앞으로도 적극 행정과 현지 협력망 확대를 통해 국외 중요 한국 문화유산의 발굴과 환수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이번 문화유산 환수는 복권기금으로 추진되었다


(이후 자세한 내용은 붙임된 문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전글

흑백사진으로 100년 전의 인테리어를 재현하다-주미대한제국공사관, 제3회 전문가 정기초청강연 개최

다음글

미국인 부부,‘한국에서의 행복한 기억’우리 국민과 나누고파